맨위로가기

이고 (서량)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고는 400년에 건국된 서량의 초대 군주이다. 그는 351년에 전량의 관리 이창의 아들로 태어났으며, 한나라 장군 이광의 후손이다. 후량 말기에 돈황 태수를 거쳐, 북량의 진창 태수 당요의 추대를 받아 대장군, 량공에 즉위하며 서량을 건국했다. 그는 농업과 상업을 장려하고 유교를 진흥시키는 등 서량의 발전에 힘썼으며, 북량의 침공을 막아 국가를 안정시켰다. 417년에 사망했으며, 아들 이흠이 뒤를 이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량의 군주 - 이흠
    이흠은 오호십육국 시대 서량의 후주로, 무능한 통치와 가혹한 형벌로 백성을 고통스럽게 했으며, 북량 정벌에 실패하여 처형당함으로써 서량을 멸망하게 했다.
이고 (서량)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작위량공 (涼公)
추존 묘호태조 (太祖)
추존 시호무소왕 (武昭王)


흥성황제 (興聖皇帝)
이고 (李暠)
현성 (玄盛)
소자장생 (長生)
가족 성이 (李)
씨족불명
출생351년
사망417년
매장지건세릉 (建世陵)
통치
통치 시작400년
통치 종료417년
계승자이흠
칭호대도독, 대장군, 호강교위, 영진주&량주목, 량공 (大都督 大將軍 護羌校尉 領秦涼二州牧 涼公)
왕조
왕가이씨
국가서량
연호
연호경자 (庚子): 400–405
건초 (建初): 406–417
가계
아버지이창
어머니불명
배우자신씨, 윤태후
자녀이흠, 이순

2. 생애

이고는 후량 말기인 397년 단업이 후량에서 자립하여 북량을 건국하는 과정에서 등장한다. 398년 단업이 돈황을 지배하면서 맹민을 사주(사주) 자사에, 이고를 효곡(效穀) 현령에 임명했다. 얼마 후 맹민이 병으로 사망하자, 한인 호족들은 이고를 돈황 태수로 추대했다.

400년 북량의 진창(晋昌) 태수 당요가 모반을 일으켜 이고를 대장군, 양공, ·양 2주목, 호강교위로 추대하면서 서량이 건국되었다. 이고는 즉위 후 북량저거몽손의 침공을 막는 한편, 농경과 양잠, 서역과의 무역을 장려하여 서량을 안정된 국가로 성장시켰다. 또한 한족 사회의 전통에 따라 학교를 세우고 유교를 진흥시켜 한족 문화 보호에 힘썼다.

405년에는 서진에 사신을 보내 번신이 되기를 요청하고, 수도를 둔황에서 주천으로 옮겨 북량을 압박하고자 했다. 그는 아들들에게 편지를 써서 열린 마음과 논리적 사고, 온화한 성격을 가지도록 격려했다.

406년 남량의 토발유단과 평화 협정을 맺어 북량에 대항하는 암묵적 동맹을 맺었으나, 실제 공동 군사 행동은 없었다. 그해 말, 저거몽손주천을 공격했으나, 이고는 주천 근처에서 패배하여 도시로 돌아가 방어했고, 저거몽손은 포위할 힘이 부족하여 철수했다.

410년, 저거몽손이 다시 서량을 공격하여 이고의 후계자 이흠을 격파하고 장군 주원호(朱元虎)를 포로로 잡았다. 이고는 은과 금으로 몸값을 지불하여 주원호를 돌려받았고, 저거몽손은 주원호를 돌려보내고 이고와 화해했다.

411년, 저거몽손서량을 기습 공격했으나, 이고는 수도를 방어하며 교전하지 않았고, 저거몽손은 식량 부족으로 철수했다. 이고는 이흠을 보내 퇴각하는 북량 군대를 공격하게 했고, 이흠저거몽손에게 대승을 거두었다.

416년, 부하 소승명(索承明)이 북량 공격을 제안했으나, 이고는 힘이 부족하다며 거절하고, 쓸 만한 계획을 제시해야 한다고 말했다.

417년 병이 깊어진 이고는 이흠을 그의 형제 송요에게 맡기며 자신의 사후 후계자를 잘 보좌할 것을 당부하고 사망했다. 이고는 공작 칭호만을 사용했지만, 사후에 왕으로 추존되었다.

2. 1. 초기 생애와 배경

이고는 351년에 아버지 이창이 사망한 후 태어난 유복자로, 한나라 장군 이광의 후손이었다.[6] 이고의 가문인 농서 이씨는 진(秦)의 명장 이신 등의 후손으로 하서 지방의 한족 사회에서 상당한 명문가였다.[6] 이고는 이광의 아들 이감의 15대손 또는 16대손으로 여겨진다.[6]

이고의 할아버지 이엄전량의 무위장군·천수군 태수를 역임하고 안세정후에 봉해졌으며, 이는 이고 대까지 세습되었다.[6] 이창 사후, 이고의 어머니는 송(宋)씨와 재혼하여 송요(宋繇)를 낳았다. 이고는 젊어서 학문을 좋아하고, 손자병법오자병법 등 군사 전략도 연구했다. 그는 이복형제 송요, 후량 여광의 신하 곽눈(郭黁)과 함께 살았는데, 곽눈은 송요에게는 높은 관직을, 이고에게는 독립 국가 건설을 예언하며, 흰 이마 망아지가 태어날 때 이뤄질 것이라 했다.

용비 2년(397년), 후량의 건강군 태수 단업이 자립하여 양왕을 칭하고, 북량을 건국했다.

2. 2. 서량 건국

397년, 후량의 건강(建康, 지금의 감숙성 주천시 일부 지역) 태수 단업이 후량으로부터 자립하여 북량을 건국했다.[6] 398년 단업이 돈황을 지배하자 돈황 태수 맹민을 사주(沙州, 지금의 감숙성 돈황시 일대) 자사에 임명하고, 한인 호족의 지지가 두터운 이고를 효곡(지금의 감숙성 주천시 과주현 남서쪽) 현령에 임명하였다.[6] 맹민이 병으로 죽자, 한인 호족들이 이고를 돈황 태수로 추대하였다.[6]

400년 북량의 진창(晋昌, 지금의 감숙성 주천시 일부 지역) 태수 당요가 모반을 일으키고, 이고를 대장군·양(涼公)··량 2주목(秦涼二州牧)·호강교위(護羌校尉)로 추대하면서 서량이 건국되었다.[6]

2. 3. 통치와 업적

400년 당요가 북량에서 모반을 일으켜 이고를 대장군, 양공, ·양 2주목, 호강교위로 추대하면서 서량이 건국되었다.[6] 이고는 즉위 후 북량저거몽손의 침공을 막는 한편, 농경과 양잠, 서역과의 무역을 장려하여 서량을 안정된 국가로 성장시켰다.[6] 또한 한족 사회의 전통에 따라 학교를 세우고 유교를 진흥시켜 한족 문화 보호에 힘썼다.[6]

405년, 이고는 서진에 사신을 보내 번신이 되기를 요청하고,[6] 수도를 둔황에서 주천으로 옮겨 북량을 압박하고자 했다.[6] 그는 아들들에게 편지를 써서 열린 마음과 논리적 사고, 온화한 성격을 가지도록 격려했다.[6]

406년, 남량의 토발유단과 평화 협정을 맺어 북량에 대항하는 암묵적 동맹을 맺었으나, 실제 공동 군사 행동은 없었다.[6] 그해 말, 저거몽손주천을 공격했으나, 이고는 주천 근처에서 패배하여 도시로 돌아가 방어했고, 저거몽손은 포위할 힘이 부족하여 철수했다.[6]

410년, 저거몽손이 다시 서량을 공격하여 이고의 후계자 이흠을 격파하고 장군 주원호(朱元虎)를 포로로 잡았다.[6] 이고는 은과 금으로 몸값을 지불하여 주원호를 돌려받았고, 저거몽손은 주원호를 돌려보내고 이고와 화해했다.[6]

411년, 저거몽손서량을 기습 공격했으나, 이고는 수도를 방어하며 교전하지 않았고, 저거몽손은 식량 부족으로 철수했다.[6] 이고는 이흠을 보내 퇴각하는 북량 군대를 공격하게 했고, 이흠저거몽손에게 대승을 거두었다.[6]

416년, 부하 소승명(索承明)이 북량 공격을 제안했으나, 이고는 힘이 부족하다며 거절하고, 쓸 만한 계획을 제시해야 한다고 말했다.[6]

2. 4. 죽음과 후계

417년 이고는 병이 깊어져 이흠을 그의 형제 송요에게 맡기며 "내가 죽으면, 후계자는 네 아들이다. 그를 잘 훈육해 주십시오."라고 말했다.[6] 그는 그 후 사망했고, 이흠이 그의 뒤를 이어 공작이 되었다.[6] 이고는 공작 칭호만을 사용했지만, 사후에 왕으로 추존되었다.[6] 건초 13년(417년) 2월에 향년 67세로 병사했다.[6]

3. 가계 및 가족 관계

이고는 농서 이씨 가문 출신으로, 한나라 장군 이광의 16대 손이다.[1] 아버지는 이창이고, 조부 이염(李弇)은 전량의 무위장군, 천수군 태수를 지냈다.[2] 이고의 부인은 음태후(尹夫人)이며, 이흠의 어머니다.[4]

3. 1. 가계

이고는 농서 이씨 가문 출신으로, 한나라 장군 이광의 후손이다.[1] 아버지 이창(李昶)은 학식과 명망이 높았으나 20세에 요절했고, 이고는 그의 유복자로 태어났다.[2] 어머니는 이창 사후 송(宋)씨와 재혼하여 송요(宋繇)를 낳았다.[1]

이고의 가계는 다음과 같다.

관계이름비고
조부이염(李弇)전량의 무위장군, 천수군 태수, 안세정후[2]
부친이창(李昶)자는 중견(中堅), 세자 시강 역임[2]
모친-송(宋)씨와 재혼[1]
이복 형제송요(宋繇)이고의 어머니와 송(宋)씨 사이에서 태어남, 이고의 책사[1]


3. 2. 가족 관계

이고의 부인은 음태후(尹夫人)이며, 이흠의 어머니다.[4] 자녀는 다음과 같다.

이름지위사망년도비고
이탄(李譚|이담중국어)태자404년
이흠(李歆|이흠중국어)태자 (404년 책봉), 이후 공작
이양(李讓|이양중국어)신상후
이순(李恂|이순중국어)이후 군주
이번(李翻|이번중국어)
이예(李預|이예중국어)
이홍(李宏|이홍중국어)
이조(李眺|이조중국어)
이량(李亮|이량중국어)
이경수(李敬受|이경수중국어)437년거거목건의 아내, 북량의 왕자


4. 평가 및 영향

이고는 서량의 건국자로서 온화하고 은혜로운 정치로 백성들의 지지를 받았으며, 둔황 지역 안정에 기여하고 학문과 인재 등용을 통해 국가 기틀을 다졌다.[1] 십육국춘추에 따르면, 그는 스스로 서(序)를 지어 훈계로 삼을 정도로 학문과 교육을 중시했다.

이고는 《술지부(述志賦)》, 《괴수부(槐樹賦)》 등 여러 편의 부(賦)를 직접 지어 문학적 재능을 보였다.[1]

4. 1. 영향

이고의 후손인 이오는 당나라 시대의 문인이자 한유의 제자였다.[1]

5. 기타

이고에 대한 기록은 당나라 때 편찬된 《진서》에 일부 남아있는데, 당 황실 농서 이씨가 이고의 자손을 칭했기 때문에 피휘하여 '이현성'으로 기술되어 있다.[6]

십육국춘추》(권8 서량기록)에는 이고가 한나라 전장군 이광의 16대 손이며, 농서 적도 사람으로 기록되어 있다. 또한 조부 이엄(弇)과 아버지 이창(昶)에 대한 기록, 397년 단업에게 임명된 사실, 400년 당요에게 추대되어 서량을 건국한 사실, 연호, 건물, 칡덩굴에서 나무가 자란 사건, 아들 이흠을 세자로 세운 사실, 여러 신하에게 시를 짓게 한 일, 417년 사망하여 건세릉(建世陵)에 장사지낸 사실 등이 기록되어 있다.

이고와 당나라 황실과의 혈연관계에 대한 논란이 있다. 미야자키 시테이는 당나라 황실의 이씨가 이민족 계열의 다이아베가 한화된 씨족이며[6], 무소왕(이고)과는 혈연관계가 전혀 없다고 주장한다. 다른 설에서는 무소왕의 자손이 북위에 멸망당했으나, 서량 이씨는 북위의 비호를 받아 이후에도 이어졌다고 한다. 『신당서』에 따르면, 당나라 시인 이백은 이고의 9대 직계 후손으로 여겨진다.

5. 1. 관련 기록

이고에 대한 기록은 당나라 때 편찬된 《진서》에 일부 남아있는데, 당 황실 농서 이씨가 이고의 자손을 칭했기 때문에 피휘하여 '이현성'으로 기술되어 있다.[6]

십육국춘추》에도 이고에 대한 기록(권8 서량기록)이 남아있다. 여기에는 이고가 한나라 전장군 이광의 16대 손이며, 농서 적도 사람으로 기록되어 있다. 또한 조부 이엄(弇)과 아버지 이창(昶)에 대한 기록, 397년 단업에게 임명된 사실, 400년 당요에게 추대되어 서량을 건국한 사실 등이 기록되어 있다. 연호와 관련된 기록, 건물을 짓거나 칡덩굴에서 나무가 자란 사건, 아들 이흠을 세자로 세운 사실, 여러 신하에게 시를 짓게 한 일, 417년 사망하여 건세릉(建世陵)에 장사지낸 사실 등도 기록되어 있다.

5. 2. 논란

이고와 당나라 황실과의 혈연관계에 대한 논란이 있다. 미야자키 시테이는 당나라 황실의 이씨가 이민족 계열의 '''다이아베'''가 한화된 씨족이며[6], 무소왕(이고)과는 혈연관계가 전혀 없다고 주장한다. 다른 설에서는 무소왕의 자손이 북위에 멸망당했으나, 서량 이씨는 북위의 비호를 받아 이후에도 이어졌다고 한다. 『신당서』에 따르면, 당나라 시인 이백은 이고의 9대 직계 후손으로 여겨진다.

참조

[1] 서적 Book of Jin
[2] 서적 Zizhi Tongjian
[3] 서적 Zizhi Tongjian
[4] 서적 Book of Jin
[5] 서적 大唐西域記
[6]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